- 국민여가활성화를 위한 여가교육정책 제안
- Leisure Education Policy Suggestion for Leisure Activation
- ㆍ 저자명
- 황선환,김매이,박수정
- ㆍ 간행물명
- 여가학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7년|15권 3호(통권46호)|pp.43-53 (11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여가문화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17MB)
- ㆍ 주제분야
- 예체능
본 연구는 국민들의 행복감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인 여가선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가교육이라는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지난 2015년 5월 ‘국민여가활성화 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분야인 ‘여가교육’을 중심으로 국민의 행 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가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여가교육에 대한 현황 파악 및 교육 콘텐츠를 분석하였으며, 한국사회에 적합한 여가교육 정 책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평생교육단위 개발, 둘째, 문화예술체육 전공 연계봉사를 통한 여가교육기부, 셋째, 교사들을 위한 여가관련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넷째, 여가안전 매뉴얼 개발 등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suggest policies for leisure education in order to activate leisure activities. The study focused leisure education section which is an important area to establish the basic plan for leisure activation after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leisure activation basic law in May 2015. Doing this, we tried to know the role of leisure in order to improve people’s happiness. To achieve the goal, we collected the data from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of leisure education, and analyzed education contents. Thus leisure education policies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were suggested: First, development of the continuing leisure education units, second, leisure education donation through linking culture, arts, and sports major, third, development of leisure-related education program contents for teachers, finally, development of the leisure safety manual.
Ⅰ. 서론 Ⅱ. 본론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