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를 활용한 레저스포츠 트렌드 분석
- Leisure sports trend analysis utilizing SNS
- ㆍ 저자명
- 김보경,한상일
- ㆍ 간행물명
- 여가학연구KCI
- ㆍ 권/호정보
- 2016년|14권 1호(통권40호)|pp.83-102 (20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여가문화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0.56MB)
- ㆍ 주제분야
- 예체능
본 연구에서는 SNS에 남겨진 소셜 텍스트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레저스포츠 활 동의 트렌드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네이버(naver)와 다음 (daum)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검색을 위한 키워드 는‘레저스포츠’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기간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소셜 메트릭스 프로그램인 ‘textom 1.0’을 활용하였다. 레저스포츠 키워드를 바탕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연관어를 살펴본 결과, 2010년 ‘레저스포츠 c-leisure, 해양레저, 수상 레저, 제주도’, 2011년 ‘레저스포츠, 해양레저, 수상 레저, 제주, 요트’, 2012년‘레저 스포츠, SPOEX, 수상 레저, 익스트림스포츠, c-leisure’, 2013년‘레저스포츠, SPOEX, 체험 프로그램, 해양레저, 수상 레저’, 2014년‘레저스포츠, 체험 프로그 램, SPOEX, 해양레저, 수상 레저’등의 핵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둘째, 해양레저, 수상 레저, 수상 스키, 체험 프로그램, 요트, 골프, 승마, 전시회를 동반한 레저스 포츠 행사와 관련한 연결 정도 중심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레저스포츠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is an attempt to observe trend change developments of domestic leisure sports activities utilizing social text data left on SNSs. For this, blogs provided by Naver and Daum were used as subjects of analysis and the keyword for data searching was ‘leisure spor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rom January 1st, 2010 to June 30th, 2015. The social matrix program ‘Textom 1.0’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It was shown that hot keywords related to leisure sports were ‘leisure sports, c-leisure, marine leisure, water leisure, and Jeju Island’ in 2010, ‘leisure sports, marine leisure, water leisure, Jeju Island, and yacht’ in 2011, ‘leisure sports, SPOEX, water leisure, extreme sports, and c-leisure’ in 2012, ‘leisure sports, SPOEX, experiential program, marine leisure, and water leisure’ in 2013, and ‘leisure sports, experiential program, SPOEX, marine leisure, and water leisure’ in 2014. Second, marine leisure, water leisure, water skiing, experiential program, yacht, golf, horseback riding, and exhibition-accompanying leisure sports event were shown to have high degree centrality valu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leisure sports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